
환경변수란
👉 Linux 기반 운영체제 PC 시스템에 설정한 전역변수를 말한다
환경변수를 사용하는 이유
👉 공개할 수 없는 정보가 코드에 포함될 경우에 PC 전역변수에 할당해 저장해야 한다
API key, DB password와 같이 민감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
환경변수 설정하는 방법
JavaScript에서 변수는 스코프에 따라 전역변수와 지역변수로 나뉜다
그러나 파일 A에서 전역변수로 선언하더라도, 다른 파일 B에서 파일 A의 전역변수에 접근할 수 없다
그러나 파일 A의 전역변수를 export 한다면, 파일 B에서 파일 A의 전역변수에 접근할 수 있다
Linux 기반의 운영체제의 PC에는 시스템 자체에 전역변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그리고 시스템에 설정한 전역변수를 환경변수라고 한다
export 를 이용해 환경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
1) 새로운 환경변수 만들기
export 변수명="값" (등호의 앞 뒤에 띄어쓰기 없이 설정)
2) 환경변수 조회하기
- 전체 환경변수 조회하기
export 또는 env(ios용) 명령어 실행
- 특정 환경변수 조회하기
echo $변수명
$가 변수라는 뜻 $가 없으면 변수의 값이 아닌 변수명만 출력한다
① echo echo [option] [string] 텍스트나 문자열을 보여줍니다. ② prompt (command prompt) prompt는 사용자의 입력, 즉 명령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문자(characters) 서열 이 것의 목적은 prompt라는 문자 그대로 사용자의 활동을 받아들이기 위함입니다. 일반적으로 #, $, %, > 중 하나가 프롬프트의 마지막 문자로 자주 쓰이며 그 외에 현재 작업 디렉토리(폴더) 같은 정보를 포함하기도 합니다. |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환경변수 2) 환경변수 사용하기 - dotenv.config() (0) | 2021.10.05 |
---|---|
리눅스 사용권한 2) chmod: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(0) | 2021.10.05 |
리눅스 사용권한 1) 리눅스 실행과 읽기 권한 차이 (0) | 2021.10.0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