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ostman이란?
- Postman은 개발한 API를 테스트하고, 테스트 결과를 공유하여 API 개발의 생산성을 높여주는 플랫폼
- 개발한 서버에 요청을 보낼 수도, 그에 대한 응답을 보내서 확인할 수도 있는 플랫폼이다
Postman 를 사용하기 위해서 알아야 하는 기본
• 포스트맨을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받기 위해서는 일단 어디에 정보를 요청하는 게 첫번째 관문이다.
(이 어디에를 End-point라고 한다)
• 두번째 관문은 어디에 데이터를 요청할 지를 알았다면 어떤 방식을 사용하는 지다
대부분 전송을 위해 HTTP 모듈의 GET, POST 메소드를 사용한다
• 세번째 관문은 어떤 경로(End-point)를 이용하는 것이 좋을까다
=> REST API 참고
이 페이지에서는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경로 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
1) Query Params
url뒤에 오는 뒤에 key란 변수에 값을 담아 서버에 요청하는 방식이다
GET url?key='cording'
// key에 담긴 정보중 'cording'과 일치하는 정보를 요청함
// fetch(url?key='cording')
2) Path Variable
Query Params와 똑같은 결과를 낼 수 있다
GET url/key/'cording'
// key에 담긴 정보중 'cording'과 일치하는 정보를 요청함
// fetch(url?key='cording')
차이가 뭘까?
Path variable
어떤 데이터의 위치를 특정해 보여줘야 할 경우 사용
Query parameter
데이터를 정렬하거나 필터해서 보여줘야 할 경우 사용
참고
https://medium.com/@fullsour/when-should-you-use-path-variable-and-query-parameter-a346790e8a6d
When Should You Use Path Variable and Query Parameter?
In this article, I’d like to show you what is a Path Variable and Query Parameter. And how you think and use those as best practice.
medium.com
'서버 기본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tatus Codes (0) | 2021.09.12 |
---|---|
res.json() vs express.res.json() (0) | 2021.09.10 |
HTTP messages (0) | 2021.09.02 |
크롬 에러 해결 (0) | 2021.09.02 |
3) 도메인 , DNS (0) | 2021.09.02 |
댓글